본문 바로가기
미국 이야기

미국 카드사들이 공항 라운지에 뛰어드는 이유는?

by 뉴욕멍 2025. 5. 14.
반응형

공항 라운지 진출의 배경과 트렌드

과거에는 항공사 최상위 등급 승객이나 일부 엘리트 여행자만이 공항 라운지의 혜택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최근 10여 년간 신용카드 업계가 이러한 공항 라운지 혜택을 대중화하면서 상황이 달라졌습니다. 2013년 American Express(아메리칸 익스프레스)가 라스베이거스 공항에 Centurion Lounge를 개설한 것을 시작으로, 신용카드사가 직접 운영하는 프리미엄 라운지가 등장했습니다. 이는 당시 **The Platinum Card®**와 같은 고급 카드 소지자들에게 특별한 여행 경험을 제공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후 다른 카드사들도 이 흐름에 합류하게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ChaseCapital One까지 자체 브랜드의 라운지를 열면서, 공항 라운지 공간은 항공사뿐 아니라 카드사들 간의 경쟁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카드사들의 라운지 진출은 단순한 프리미엄 서비스 제공을 넘어, 여행과 금융이 만나는 접점에서 새로운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고객 확보 및 유지: 라운지의 역할

공항 라운지는 주요 카드사들의 **고객 확보(신규 회원 유치)**와 기존 고객 유지(로열티 강화) 전략에서 핵심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연회비가 비싼 프리미엄 신용카드들은 가입 시 수십만 마일리지를 제공하는 등 혜택 경쟁이 치열한데, 공항 라운지 이용 권한은 그 중에서도 가장 매력적인 혜택 중 하나로 꼽힙니다. American Express, Chase, Capital One 같은 발급사들이 고급 전용 라운지 접근 권한을 내세움으로써, 여행을 자주 하는 우수 고객층을 끌어들이고 유지하는 효과를 누리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러한 독점적이고 고급스러운 경험은 높은 연회비를 정당화해주기 때문에, 카드사들은 라운지 혜택을 통해 여유 소비층 고객을 유인하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Capital One은 최상위 카드인 Venture X 카드 회원에게 본인 및 동반인에게 라운지 무제한 무료 입장을 제공하여 여행자들의 관심을 끌었고, 일반 회원도 연 2회의 무료 방문 혜택을 줌으로써 카드 발급을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라운지 혜택은 신규 고객에게 “이 카드를 소지하면 공항에서 특별 대우를 받는다”는 강력한 유인책이 되며, 기존 고객에게는 카드를 계속 유지할 동기를 제공합니다.

또한 라운지 운영은 고객 접점에서의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충성도 제고에도 기여합니다. 예컨대, 출장이나 여행이 잦은 프리미엄 고객들은 공항 라운지에서의 편안한 대기 경험을 매우 가치 있게 여기는데, 이러한 고객들이 카드 해지를 고민할 때 라운지 혜택의 유무가 결정적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카드 연회비가 비싸더라도, 라운지 이용만으로 본전을 뽑는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카드사는 라운지 혜택을 통해 고객 이탈을 방지하고 장기적 관계를 유지하려는 것입니다.

경쟁 우위 확보와 브랜드 차별화

카드사들이 직접 라운지를 운영하는 것은 경쟁사와의 차별화 전략 측면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신용카드의 여행 혜택은 Priority Pass와 같은 제휴 라운지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이런 제3자 라운지는 서비스 품질이 제각각이고 브랜드 통제가 어렵습니다. 반면, 카드사가 직접 만든 독자 브랜드 라운지일관된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자사 브랜드 이미지에 부합하는 경험을 연출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mex Centurion Lounge들은 미식 셰프가 구성한 메뉴, 프리미엄 바, 스파 시설 등으로 유명한데, 이는 Amex가 지향하는 럭셔리 이미지와 궤를 같이합니다. 이렇게 브랜드에 걸맞는 경험을 통제함으로써, 카드사는 고객에게 **“이용할 때마다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일관된 품격”**을 각인시킬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자체 라운지 네트워크를 갖추는 것 자체가 경쟁 우위로 작용합니다. 예를 들어 American Express Platinum 카드와 경쟁 관계인 Chase Sapphire Reserve나 Capital One Venture X는 모두 Priority Pass 제휴를 제공하지만, Amex는 자사 Centurion 라운지 네트워크를 내세워 차별화를 시도해 왔습니다. 이에 대응해 Chase와 Capital One도 각각 Sapphire LoungeCapital One Lounge를 개설하며 **“우리 카드만의 전용 공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런 독점 혜택은 경쟁사와의 서비스 격차를 벌리는 수단이 되며, 특히 라운지의 수준과 특징을 둘러싼 경쟁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예컨대, Chase Sapphire Lounge는 **“아멕스 센추리온의 고급스러움과 Capital One 라운지의 캐주얼함 중간 정도의 분위기”**를 목표로 하여 고유한 디자인과 이색적인 시설(게임룸, 페이셜 케어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는 자사 연회비 수준에 맞는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려는 전략으로, 카드별 포지셔닝에 따라 라운지의 컨셉도 달리하는 모습입니다.

결과적으로, 공항 라운지는 카드사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는 무대가 되고 있습니다. 고객들은 공항에서 Amex, Chase, Capital One의 라운지를 직접 체험하면서 해당 브랜드에 대한 호감과 신뢰를 쌓게 됩니다. 카드사는 더 이상 “결제 수단”에 머무르지 않고, 여행 라이프스타일의 동반자로 자신들을 포지셔닝함으로써 경쟁사와 구분되는 고유의 가치를 전달하고 있는 것입니다.

수익 모델과 금융 비즈니스에의 부가가치

공항 라운지 운영은 단기적인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부가가치 창출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직접적인 수익 측면에서, 일부 카드사는 비회원 유료입장을 허용하여 수입을 올리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Capital One 라운지는 해당 카드가 없는 일반인도 1인당 90달러를 지불하면 1회 입장할 수 있게 해두었는데, 이러한 일회성 입장료 수익은 운영 비용 보전에 조금이나마 기여합니다. 또한 동반인 초과 인원 요금 징수나, 제휴 회원 프로그램(Priority Pass 등)을 통한 정산 등도 부가 수익원이 됩니다. 그러나 이런 직접 수익은 전체 운영 비용에 비하면 제한적이며, 카드사들이 라운지에 투자하는 주된 목적은 눈앞의 입장료 수익 창출이 아닙니다.

진정한 수익 모델의 핵심은 간접적인 효과에 있습니다. 프리미엄 라운지를 제공함으로써 카드사는 높은 연회비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연회비가 약 70만원 수준인 Amex Platinum이나 Chase Sapphire Reserve 같은 카드들은 라운지 혜택 없이는 고객 설득이 어려울 수 있지만, 라운지 이용 가치가 더해지면 고객은 연회비를 기꺼이 지불하게 됩니다. 이 연회비 수입과 함께, 프리미엄 고객들이 카드를 활발히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결제 수수료 수익(가맹점 수수료), 여행 및 쇼핑 관련 추가 지출 등도 증가합니다. 카드 사용량 증대는 궁극적으로 카드사의 수익 증대로 이어지는데, 라운지 혜택은 고객이 여행 시 해당 카드를 “꼭 챙겨 쓰도록” 동기 부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테면 항공권이나 호텔 비용을 카드로 결제하고 그 카드로 라운지에 입장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카드사는 결제 수수료를 얻고 고객은 포인트를 적립하는 윈윈 구조가 형성됩니다.

또 하나 간과할 수 없는 부가가치는 데이터와 마케팅 기회입니다. 카드사가 운영하는 라운지에서는 어떤 고객이 언제 어느 공항에서 몇 시간을 머무르는지, 선호하는 음식이나 서비스는 무엇인지 등의 행동 데이터 수집이 가능합니다. 이를 통해 카드사는 고객의 여행 패턴과 취향을 더욱 잘 이해하게 되고, 향후 맞춤형 마케팅이나 상품 개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라운지 이용 데이터로 특정 고객이 런던을 자주 방문하는 것이 파악되면, 해당 고객에게 영국 여행 관련 제휴 혜택이나 항공권 할인 프로모션을 제안할 수 있습니다. 또한 라운지 내에서 신제품(다른 카드나 금융 상품) 홍보브랜드 제휴 이벤트를 열 수도 있어, 라운지 자체가 마케팅 플랫폼으로 기능하기도 합니다.

물론 라운지 운영에는 상당한 고정 비용 투자가 요구되며, 모든 카드사가 이를 감당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공간 임대료, 인테리어 투자, 고급 식음료 제공, 직원 고용 등 유지비가 높기 때문에, 경제 여건 악화나 여행 수요 변화 시에는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Amex, Chase, Capital One 등은 이러한 투자를 프리미엄 고객층 확보를 위한 전략적 비용으로 보고 감내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볼 때 라운지 운영이 가져오는 브랜드 충성도와 수익 기여가 투자 대비 크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요컨대, 라운지 운영의 부가가치는 숫자로 바로 나타나기보다, 프리미엄 금융 비즈니스의 생태계를 강화하는 데 기여하는 간접 효과로 발현되고 있습니다.

브랜드 전략과 향후 영향

카드사들의 공항 라운지 운영은 장기 브랜드 전략 차원에서 금융 비즈니스의 지형을 바꾸고 있습니다. 우선, 이러한 움직임은 고객 경험 중심의 전략을 강화하는 흐름과 맞닿아 있습니다. 예전에는 포인트 적립이나 캐시백처럼 금전적 보상이 로열티 프로그램의 핵심이었다면, 이제는 **“기억에 남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특히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는 물질적 혜택보다 경험 가치를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 카드사는 라운지와 같은 경험형 혜택을 통해 세대 공략에 나선 것입니다. 이는 곧 금융회사가 단순한 거래 처리자를 넘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풍요롭게 하는 파트너로 변모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실제로 카드사들은 스스로를 여행, 미식, 여가 등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포지셔닝함으로써, 현대적 은행의 정의를 재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운지 운영 확대는 산업 경계의 재구성을 가져오고 있습니다. 과거 공항 라운지 생태계는 항공사들의 영역이었으나, 이제 카드사가 프리미엄 여행 경험의 주요 제공자로 부상했습니다. 이로 인해 항공사들도 프리미엄 고객을 붙잡기 위한 전략 재고가 필요해졌으며, 일부는 카드사와 파트너십을 모색하거나 자체 라운지 서비스 향상에 나서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Delta항공은 Amex와 제휴하여 Delta Sky Club에 Amex Platinum 회원을 받아들이면서도, 혼잡도 관리를 위해 입장 정책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한편으로는, 카드사와 항공사가 경쟁하면서도 협력하는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 것입니다.

장기적으로, 카드사의 이런 경험 중심 전략다른 분야로의 확장 가능성도 시사합니다. 이미 Capital One은 공항 라운지 외에도 “Landing”이라는 식음료 특화 라운지를 도입하여 미식 경험을 강조하고 있고, 추후 독점 호텔 체험, 특별 여행 패키지, 심지어 전용 리조트 공간 등으로 혜택 영역을 넓힐 수도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금융사가 고객의 여행 전반을 아우르는 서비스 제공자로 자리매김하게 되면, 금융과 여행산업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될 것입니다. 이는 금융업의 장기적 진화 방향을 보여주는 동시에, 프리미엄 브랜드 구축을 위한 혁신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모든 고객에게 라운지 혜택이 확대되면서 발생하는 혼잡 문제는 앞으로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이미 인기 라운지들에서는 입장 대기자 명단이나 이용 제한이 생길 정도로 붐비고 있으며, Amex는 Centurion Lounge의 무료 동반 입장 정책을 축소하는 등 혼잡 완화 조치를 시행했습니다. 카드사들은 지속적인 신규 라운지 개설운영 정책 조율을 통해 쾌적함과 접근성 사이의 균형을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고객에게 최상의 경험을 제공한다는 큰 방향성에는 변함이 없으며, 라운지 전략은 향후에도 카드사들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핵심 자산으로 남을 전망입니다.

주요 라운지 사례와 특징

  • American Express Centurion Lounge – 프리미엄 라운지의 선구자: Amex가 2013년에 시작한 Centurion Lounge는 공항 라운지의 럭셔리 기준을 한층 높인 공간으로 평가받습니다. 미슐랭 스타 쉐프가 참여한 고급 현지 식음료 메뉴, 유명 믹솔로지스트가 조합한 시그니처 칵테일 바, 업무 및 휴식을 위한 전용 공간 등이 특징입니다. 일부 라운지에는 스파 서비스샤워 시설도 갖춰져 장거리 여행객에게 인기가 높습니다. Amex Platinum 및 Centurion(블랙) 카드 회원에게 무료 입장이 제공되며, 이 혜택은 Amex 카드의 가치를 높이는 핵심 요소입니다. 다만 큰 인기만큼 혼잡도 문제로 떠올라, Amex는 최근 플래티넘 카드 회원의 무료 동반 입장 요건을 강화하는 등 품질 유지를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 Capital One Lounge – 모던하고 차별화된 편의: Capital One이 2021년 첫 선을 보인 Capital One Lounge는 여행자 편의와 웰니스에 초점을 맞춘 것이 강점입니다. 예를 들어 댈러스-FW 공항(DFW) 라운지에는 비행 전 운동을 할 수 있는 Peloton 자전거와 요가실이 마련되어 있고, 최첨단 수면 포드를 갖춘 수면/휴식 공간도 제공합니다. 모든 라운지에 샤워실, 무료 고속 Wi-Fi, **현지 음식이 가미된 뷔페 및 간편 포장코너(grab-and-go)**가 있어, 여유 있는 여행객부터 환승 시간에 쫓기는 고객까지 두루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디자인 측면에서도 지역 예술품을 비치하고 친환경 자재를 활용하는 등 현지 문화 반영과 지속가능성에 신경 쓴 모습입니다. 주요 입장 대상은 Venture X 카드 회원이지만, **일반인 유료 입장(1회 $90)**도 허용하여 개방성을 더했습니다. Capital One은 이러한 **독특한 서비스(예: 웰니스, 현지화된 경험)**를 통해 후발주자임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카드 시장에서 차별화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 Chase Sapphire Lounge – 글로벌 확장과 균형 잡힌 경험: Chase는 2022년 홍콩 공항에 첫 Sapphire Lounge를 연 이후, 미국 보스턴(BOS), 뉴욕(JFK/LGA), 워싱턴 IAD 등으로 빠르게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 라운지들은 공항 라운지 전문 운영사인 **“더 클럽(The Club)”**과 제휴하여 운영되며, 세련된 인테리어 디자인과 지역별 특색 있는 메뉴를 갖추고 있습니다. 서비스 컨셉은 Amex Centurion만큼 격식을 차리면서도 Capital One 라운지만큼 편안한 중간 지대의 분위기를 지향하며, 일부 라운지에는 엔터테인먼트 요소게임 공간이나 피부 관리(페이셜) 서비스 등의 색다른 편의도 도입되었습니다. Chase Sapphire Reserve 카드 회원과 JP모건 리저브 카드 회원에게 무제한 무료 입장이 제공되고, Priority Pass 회원도 연 1회는 이용 가능하도록 개방하여 고객 폭을 넓혔습니다. Chase의 전략은 전 세계 주요 허브에 라운지를 두어 Sapphire 카드의 글로벌 이미지를 강화하는 한편, 탄탄한 품질의 서비스로 Amex 및 다른 경쟁사를 추격하는 것입니다. 향후 LA, 라스베이거스, 피닉스 등 추가 개장이 예정되어 있어 공격적으로 투자하는 추세입니다.

이와 같이 각 카드사의 라운지는 공통적으로 프리미엄한 경험을 지향하면서도, 세부적으로는 각 사의 브랜드 전략에 부합하는 개성을 보여줍니다. 결국 공항 라운지 운영은 카드사가 **자사 최우수 고객층에게 제공하는 “궁극의 혜택”**이자, 동시에 자신들의 브랜드 철학을 나타내는 쇼케이스라 할 수 있습니다.

American Express가 2013년 라스베이거스 공항에 첫 Centurion Lounge를 개설하며 고급 공항 라운지 트렌드를 시작했고, 그 성공을 바탕으로 Capital One도 2021년 첫 라운지를 열어 현재 3곳을 운영 중이며 Chase 역시 Sapphire Lounge를 2022년부터 확장하여 7곳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카드사들이 독자 라운지를 개발하는 움직임은 프리미엄 카드 시장에서 경쟁사와 차별화하고 높은 연회비를 정당화할 독점적이고 고품질의 경험을 제공하려는 전략에서 비롯되었습니다.

Priority Pass와 같은 제3자 네트워크는 라운지 품질이 들쭉날쭉할 수 있지만, 자체 브랜드 라운지를 운영하면 카드사가 고객 경험을 직접 통제하여 일관되고 높은 서비스 수준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체 라운지 운영은 고객 행동 데이터를 축적할 기회를 제공합니다. 카드사는 어떤 서비스가 인기 있는지, 고객의 여행 패턴이 어떠한지 등을 파악하여 향후 상품 개발이나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공항 라운지 투자는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부응하는 전략입니다. 포인트/캐시백 위주의 전통적 보상에서 나아가, 실제 체감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 제공으로 고객 만족과 충성도를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카드사들은 라운지와 같은 서비스를 통해 금융과 라이프스타일의 경계를 허물며, 자사를 고객 삶의 다양한 측면을 향상시키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로 포지셔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Chase Sapphire Lounge는 Amex Centurion의 고급스러움과 Capital One Lounge의 캐주얼함의 중간 수준으로 자리매김하며, 독창적 디자인, 현지 미식, 게임룸/페이셜 등 재미 요소를 갖추는 등 자사 카드 고객층에 맞춘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합니다.

반응형